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을 오늘날처럼 절실하게 생각한 적이 없는 듯합니다. 코로나19로 인한 전 세계 감염병 확산을 계기로, 그간 모두가 알고 있었지만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못했던 많은 사회 문제들이 임박한 과제로 떠올랐습니다.
서울 어젠다 목표3번에도 명시되어 있듯, 우리는 예술가 및 학자들과 함께 예술교육의 원리와 사례가 어떻게 오늘날의 세계가 마주한 사회적‧문화적 위기에 대해 심도 있게 기여할 수 있는지 논하려 합니다.

예술교육이 당면한 지금의 사회적 과제의 해결을 모색해보기 위해,
“위기의 시대, 행동하는 예술교육”이라는 주제로 5월 24-26일에 온라인으로 제4회 유네스코 유니트윈 국제 학술대회가 개최됩니다.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기다립니다.

• 사회자 : 홍유진 (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기반본부 본부장, 대한민국)

시간

프로그램

연사

13:00-13:15

오프닝 공연

차진엽 (collective A 예술감독, 대한민국)

13:15-13:25

환영사

황희 (문화체육관광부 장관, 대한민국)

박신의 (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이사장, 대한민국)

13:25-13:28

해외축사

래리 오패럴
(유니트윈-문화다양성과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예술교육 연구회 명예회원 / 퀸즈 대학교 명예교수, 캐나다)

13:28-13:43

기조발제

1

벤 트위스트
(크리에이티브 카본 스코틀랜드 대표, 스코틀랜드)

13:43-13:58

2

피터 셀라스
(연극 감독 / UCLA 교수, 미국)

13:58-14:08

3

요조 (매직스트로베리사운드 싱어송라이터 / 작가, 대한민국)

14:08-14:13

개막 영상

<모두의 목소리 -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바라본 평등의 의미>

14:15-15:35

제4회 유네스코 유니트윈
국제 학술대회 사전행사

<지금, 기후위기-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바라본 기후위기>
모더레이터: 박신의
(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이사장, 대한민국)
성지수 (콜렉티브 뒹굴 대표, 대한민국)
모상미 (부산 모이다아트협동조합 대표, 대한민국)
강진숙 (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대표, 대한민국)
박진희 (상상창고 숨 대표 / 제주문화예술재단 창의예술교육랩장, 대한민국)

* 한국 표준시간 (KST) 기준

시간

프로그램

발제자 및 모더레이터

13:00 - 13:40

기조발제 1

예술교육 2.0에서의 다양성

에른스트 바그너
( 유니트윈-문화다양성과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예술교육 연구회 명예회원 / 뮌헨 미술원 선임연구원, 독일)

모더레이터: 치후 럼
(난양 공과대학교 부교수, 싱가포르)

13:40 - 15:25

세션 1

: 현장사례연구 1

모더레이터:홍기원
(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, 대한민국)

발제자

·극장은 '작은 지구'입니다
 _정용성 (국립극단 팀장, 대한민국)

·팬데믹 시기, 예술의 변화
 _이은수 (국립현대미술관 주무관, 대한민국)

·지속가능한 예술생태계 구축을 통한 선제적 위기 대처: 성북 ‘예술순환로’프로젝트 사례 중심
 _김소원 (성북문화재단 학예연구사, 대한민국)

·수상한 식탁
 _김수연 (경성대학교 조교수, 대한민국)

·창의적인 온라인 워크숍 만들기
 _이보람 (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대학교 교수, 대한민국)

15:25 - 16:55

세션 2

: 예술 치유

모더레이터: 글로리아 자파타
(후안 코르파스 대학재단 및 보고타 대학교 유네스코 체어, 콜롬비아)

발제자

·예술과 예술을 통한 청소년 정신 건강 지원:
예술가 교육을 위한증거 기반 및 가이드
 _티나 쿠코넌 (퀸즈 대학교 박사과정생, 캐나다)

·변하는 세상에서 안정의 원천으로서 연극 / 연극 교육과 예술 교육의 중요성
  _사냐 크르스마노비츠 타시치 (국제연극교육협회(IDEA) 이사장, 세르비아)

·6학년 크리에이티브 아트 교실에서 생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수행 교육
 _엠시 베트만 (남아프리카 대학교 조교수, 남아프리카)

·팬데믹 시대의 심리적 문제와 정신건강의 대응방안으로써의문화예술치유
 _채연 ((사)한국임상미술치료협회 회장, 대한민국)

세션 3

: 사회적&문화적
포용

모더레이터: 네릴 지네렛
(멜버른 대학교 부교수, 호주)

발제자

·팬데믹과 관계없이 비대면 예술교육이 필요한 세계 아이들에 대한고찰
 _김태희 (바라예술성장연구소 소장, 대한민국)

·차이의 세계에서 성장하기:
싱가포르 다양성 속에서 살아가는이야기
 _샬린 라젠드란 (난양 공과대학교 조교수, 싱가포르)

·춤과 언어교육의 융합:
위기의 시대 속에서 사회 다양성과 평등에대한 창의적인 대응
 _난 장 (모내시 대학교 박사과정생, 중국)

·주의력과/또는 과잉 활동 장애가 있는 4-8 학년 학생을 위한정서적 자기 조절을 촉진하기 위한 예술: 여러 사례 연구야라 도크래트
 _야라 도크래트 (퀸즈 대학교 석사과정생, 캐나다)

16:55 - 18:10

세션 4

: 서울 어젠다

모더레이터: 김인설 (가톨릭대학교 부교수, 대한민국)

발제자

·예술교육 지속가능성의 전망: 가치, 도전 그리고 가능성
 _벤저민 볼든 (퀸즈 대학교 부교수, 캐나다) & _네릴 지네렛 (멜버른 대학교 부교수, 호주)

·환경 예술작가, 젠 테와의 대화: 과정과 교육적 가능성 탐색
 _치후 럼 (난양 공과대학교 부교수, 싱가포르) & _젠 테 (환경예술가 및 교육자, 싱가포르)

·시각예술교육: 지연의 연속과 불확실한 시간 속에서 세계를이어주고, 풀어주고, 지속하며 완화해주는 국제적 맥락
 _캐스린 콜먼 (멜버른 대학교 부교수, 호주) & 마크 셀크리그 (멜버른 대학교 부교수, 호주) & 애비 맥도널드 (태즈매니아 대학교 부교수, 호주)

18:10 - 19:10

온라인 만남의 광장

시간

프로그램

발제자 및 모더레이터

13:00 - 13:40

기조발제 2

예술교육 과제로서의 "문화적 회복력"과 "미적 회복력"
: 문화적 지속가능성의 교육론을 위한 회복 개념의 범위와 한계

베냐민 외리센
(유니트윈-문화다양성과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예술교육 연구회 정회원 / 프리드리히 알렉산더 에를랑겐-뉘른베르크 대학교 유네스코 문화예술교육 체어 의장, 독일)

모더레이터: 탄야 클레패키 (프리드리히 알렉산더 에를랑겐-뉘른베르크 대학교 유네스코 문화예술교육 체어 선임 연구원, 독일)

13:40-15:10

세션 5

: 교실 속의 예술

모더레이터: 벤저민 볼든 (퀸즈 대학교 부교수, 캐나다)

발제자

·COVID-19 대유행 기간 동안 케냐 대학 학생들의 석방, 구호, 성찰및 복원을 촉진하기 위한 미술 치료 사용
 _메리 클레어 키덴다 (케냐 공과대학교 학과장, 케냐)

·포용적 관행을 위한 인형극의 마술 같은 힘
 _에밀리 맥밀런 (퀸즈 대학교 석사과정생, 캐나다)

·교실에서 다양성과 문화적 표현의 필요성: 실용적인 전략과 그 실행
 _홍지혜 (브리검 영 대학교 부교수, 미국)

·2020년 학생들의 목소리를 사용한 디지털 예술과 협작
 _에밀리 윌슨 (멜버른 대학교 조교수, 호주) & 네릴 지네렛 (멜버른 대학교 부교수, 호주)

15:10-16:40

세션 6

: 예술 참여

모더레이터: 신혜선 (위컬쳐 리서치&컨설팅 대표, 대한민국)

발제자

·팬더믹 이후의 온라인 문화예술교육은 어떻게 예술교육가의정체성을 재구성하는가
  _제환정 (한국예술종합학교 객원교수, 대한민국)

·온라인 관람 시대에 참여와 공유를 실천하는 박물관/미술관 교육프로그램 개발
 _정혜연 (홍익대학교 조교수, 대한민국) & 성효진 (홍익대학교 석사과정생 / 국제 갤러리 전시팀, 대한민국)

·서비스 학습의 네러티브: 난양 미술 아카데미 사례 연구
 _레베카 칸 (난양 미술 아카데미 부총장, 싱가포르) & 푸 세이 밍 (난양 미술 아카데미 학장, 싱가포르) & 탄 젱 수안 (난양 미술 아카데미 BMus4 학사 조교, 싱가포르)

·2020년 위기 속에서 창의 세대와 예술교육의 혁명
 _제프 풀린 (크리에이티브 제너레이션 전무이사, 미국)

세션 7

: 다양성&문화적 묘사

모더레이터: 치후 럼 (난양 공과대학교 부교수, 싱가포르)

발제자

·위기의 시기 속의 예술: 불평등 사례
 _루스 렌츠러 (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대학교 교수, 호주)

·LGBTQ 역사 사례를 만드는 박물관들
 _심지영 (홍익대학교 조교수, 대한민국)

·남한 청소년과 탈북 청소년의 공존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 미술프로젝트의 현상학적 연구
 _김유리 (이화여자대학교 박사과정생, 대한민국) & 박소정 (이화여자대학교 조교수, 대한민국)

·침묵의 단계: 캐나다 엘 시스테마(El Sistema)가 코로나에 응답하다
 _숀 코르코란 (퀸즈 대학교 박사과정생, 캐나다) & 벤저민 볼든 (퀸즈 대학교 부교수, 캐나다)

16:40-18:25

세션 8

: 현장사례연구 2

모더레이터: 홍유진 (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기반본부 본부장, 대한민국)

발제자

·포용적 문화예술교육의 실천: 책누나프로젝트의 기후위기수업사례를 중심으로
 _장수혜 (책누나프로젝트 대표, 대한민국)

·뉴 노멀 청소년에게 그림책으로 질문던지기
 _공윤지 (프리랜서 문화예술교육사, 대한민국)

·아이 코브 유
 _이현정 (지아정원 대표 / 이화여자대학교 박사과정생, 대한민국)

·위기 속에서 탄생한 새로운 예술교육 장르 소개
 _배성종 (예술 강사, 대한민국)

·과도기를 이어주다: 예술교육이 성인으로 가기 전의 아이들을어떻게 이끌어 주는가
 _최영희 (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미래교육팀 팀장, 대한민국)

18:25-19:25

폐회세션

모더레이터: 장웅조 (홍익대학교 부교수, 대한민국)

발제자

박신의 (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이사장, 대한민국)

홍유진 (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기반본부 본부장, 대한민국)

김인설 (가톨릭대학교 부교수, 대한민국)

신혜선 (위컬쳐 리서치&컨설팅 대표, 대한민국)

쉬프라 숀만 (하이파 대학교 명예교수, 이스라엘)

보와 렁 (홍콩 교육 대학교 교수, 홍콩)

에밀리 아치엥 아쿠노 (케냐 대학교 음악과 교수, 케냐)

랠프 벅 (부교수 / 오클랜드 대학교 학과장, 뉴질랜드)

* 한국 표준시간 (KST) 기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