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을 오늘날처럼 절실하게 생각한 적이 없는 듯합니다.
코로나19로 인한 전 세계 감염병 확산을 계기로, 그간 모두가 알고 있었지만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못했던 많은 사회 문제들이 임박한 과제로 떠올랐습니다.
서울 어젠다 목표3번에도 명시되어 있듯, 우리는 예술가 및 학자들과 함께 예술교육의 원리와 사례가 어떻게 오늘날의 세계가 마주한 사회적‧문화적 위기에 대해 심도 있게 기여할 수 있는지 논하려 합니다.
예술교육이 당면한 지금의 사회적 과제의 해결을 모색해보기 위해,
“위기의 시대, 행동하는 예술교육”이라는 주제로 5월 24-26일에 온라인으로
제4회 유네스코 유니트윈 국제 학술대회가 개최됩니다.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기다립니다.
• 사회자 : 홍유진 (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기반본부 본부장, 대한민국)
시간 |
프로그램 |
연사 |
|
13:00-13:15 |
오프닝 공연 |
차진엽 (collective A 예술감독, 대한민국) |
|
13:15-13:25 |
환영사 |
황희 (문화체육관광부 장관, 대한민국) |
|
박신의 (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이사장, 대한민국) |
|||
13:25-13:28 |
해외축사 |
래리 오패럴 |
|
13:28-13:43 |
기조발제 |
1 |
벤 트위스트 |
13:43-13:58 |
2 |
피터 셀라스 |
|
13:58-14:08 |
3 |
요조 (매직스트로베리사운드 싱어송라이터 / 작가, 대한민국) |
|
14:08-14:13 |
개막 영상 |
<모두의 목소리 -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바라본 평등의 의미> |
|
14:15-15:35 |
제4회 유네스코 유니트윈 |
<지금, 기후위기-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바라본 기후위기> |
* 한국 표준시간 (KST) 기준
시간 |
프로그램 |
발제자 및 모더레이터 |
13:00 - 13:40 |
기조발제 1 |
예술교육 2.0에서의 다양성 에른스트 바그너 모더레이터: 치후 럼 |
13:40 - 15:25 |
세션 1 : 현장사례연구 1 |
모더레이터:홍기원 발제자 ·극장은 '작은 지구'입니다 ·팬데믹 시기, 예술의 변화 ·지속가능한 예술생태계 구축을 통한 선제적 위기 대처: 성북 ‘예술순환로’프로젝트 사례 중심 ·수상한 식탁 ·창의적인 온라인 워크숍 만들기 |
15:25 - 16:55 |
세션 2 : 예술 치유 |
모더레이터: 글로리아 자파타 발제자 ·예술과 예술을 통한 청소년 정신 건강 지원: ·변하는 세상에서 안정의 원천으로서 연극 / 연극 교육과 예술 교육의 중요성 ·6학년 크리에이티브 아트 교실에서 생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수행 교육 ·팬데믹 시대의 심리적 문제와 정신건강의 대응방안으로써의문화예술치유 |
세션 3 : 사회적&문화적 |
모더레이터: 네릴 지네렛 발제자 ·팬데믹과 관계없이 비대면 예술교육이 필요한 세계 아이들에 대한고찰 ·차이의 세계에서 성장하기: ·춤과 언어교육의 융합: ·주의력과/또는 과잉 활동 장애가 있는 4-8 학년 학생을 위한정서적 자기 조절을 촉진하기 위한 예술: 여러 사례 연구야라 도크래트 |
|
16:55 - 18:10 |
세션 4 : 서울 어젠다 |
모더레이터: 김인설 (가톨릭대학교 부교수, 대한민국) 발제자 ·예술교육 지속가능성의 전망: 가치, 도전 그리고 가능성 ·환경 예술작가, 젠 테와의 대화: 과정과 교육적 가능성 탐색 ·시각예술교육: 지연의 연속과 불확실한 시간 속에서 세계를이어주고, 풀어주고, 지속하며 완화해주는 국제적 맥락 |
18:10 - 19:10 |
온라인 만남의 광장 |
시간 |
프로그램 |
발제자 및 모더레이터 |
13:00 - 13:40 |
기조발제 2 |
예술교육 과제로서의 "문화적 회복력"과 "미적 회복력" 베냐민 외리센 모더레이터: 탄야 클레패키 (프리드리히 알렉산더 에를랑겐-뉘른베르크 대학교 유네스코 문화예술교육 체어 선임 연구원, 독일) |
13:40-15:10 |
세션 5 : 교실 속의 예술 |
모더레이터: 벤저민 볼든 (퀸즈 대학교 부교수, 캐나다) 발제자 ·COVID-19 대유행 기간 동안 케냐 대학 학생들의 석방, 구호, 성찰및 복원을 촉진하기 위한 미술 치료 사용 ·포용적 관행을 위한 인형극의 마술 같은 힘 ·교실에서 다양성과 문화적 표현의 필요성: 실용적인 전략과 그 실행 ·2020년 학생들의 목소리를 사용한 디지털 예술과 협작 |
15:10-16:40 |
세션 6 : 예술 참여 |
모더레이터: 신혜선 (위컬쳐 리서치&컨설팅 대표, 대한민국) 발제자 ·팬더믹 이후의 온라인 문화예술교육은 어떻게 예술교육가의정체성을 재구성하는가 ·온라인 관람 시대에 참여와 공유를 실천하는 박물관/미술관 교육프로그램 개발 ·서비스 학습의 네러티브: 난양 미술 아카데미 사례 연구 ·2020년 위기 속에서 창의 세대와 예술교육의 혁명 |
세션 7 : 다양성&문화적 묘사 |
모더레이터: 치후 럼 (난양 공과대학교 부교수, 싱가포르) 발제자 ·위기의 시기 속의 예술: 불평등 사례 ·LGBTQ 역사 사례를 만드는 박물관들 ·남한 청소년과 탈북 청소년의 공존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 미술프로젝트의 현상학적 연구 ·침묵의 단계: 캐나다 엘 시스테마(El Sistema)가 코로나에 응답하다 |
|
16:40-18:25 |
세션 8 : 현장사례연구 2 |
모더레이터: 홍유진 (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기반본부 본부장, 대한민국) 발제자 ·포용적 문화예술교육의 실천: 책누나프로젝트의 기후위기수업사례를 중심으로 ·뉴 노멀 청소년에게 그림책으로 질문던지기 ·아이 코브 유 ·위기 속에서 탄생한 새로운 예술교육 장르 소개 ·과도기를 이어주다: 예술교육이 성인으로 가기 전의 아이들을어떻게 이끌어 주는가 |
18:25-19:25 |
폐회세션 |
모더레이터: 장웅조 (홍익대학교 부교수, 대한민국) 발제자 박신의 (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이사장, 대한민국) 홍유진 (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기반본부 본부장, 대한민국) 김인설 (가톨릭대학교 부교수, 대한민국) 신혜선 (위컬쳐 리서치&컨설팅 대표, 대한민국) 쉬프라 숀만 (하이파 대학교 명예교수, 이스라엘) 보와 렁 (홍콩 교육 대학교 교수, 홍콩) 에밀리 아치엥 아쿠노 (케냐 대학교 음악과 교수, 케냐) 랠프 벅 (부교수 / 오클랜드 대학교 학과장, 뉴질랜드) |
* 한국 표준시간 (KST) 기준